이웅렬 전 코오롱 회장, 456억원 연봉...퇴직금만 400억원

지난해 주요 대기업 임원 가운데 연봉 1위는 138억3600만원을 지급받은 김택진 엔씨 대표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계 1위 삼성그룹을 이끌고 있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해에도 보수를 받지 않았다. 이 부회장은 2017년 2월 구속 수감된 이후 '무보수' 경영을 이어오고 있다.

'갑질파문'으로 주주의 손에 사내이사에서 물러난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지난해 그룹 계열사 5곳에서 107억원의 보수를 챙겼다. 부실 회계 논란으로 그룹 경영에서 손을 뗀 박삼구 전 금호아시나아 회장은 14억을 받았다. 

지난해 전격 퇴임을 선언한 이웅렬 전 코오롱그룹 회장은 456억원을 수령했다. 퇴직금만 400억원으로 순수 연봉은 낮은 수준으로 파악된다. 

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김택진 엔씨 대표는 지난해 급여 17억2500만원에 상여 120억9300만원, 기타 근로소득(복리후생) 1800만원을 합쳐 총 138억3600만원을 받았다. 

순수 연봉만으로 따져 보면 100억원이 훌쩍 넘는 금액으로, 주요 대기업 임원 연봉을 크게 상회하며 1위에 올랐다. 김 대표의 상여금은 리니지M의 흥행에 힘입은 것으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에 대한 보상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지난해 그룹 내 계열사 5곳에서 약 107억원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 회장은 우선 그룹 지주사인 한진칼에서 지난해 총 26억5800만원의 보수를 챙겼다. 이어 대한항공에서 31억3000만원, 한진에서 11억985만원, 한국공항에서 23억2300만원, 진에어에서 14억9600만원을 연간 보수로 각각 수령했다. 합산하면 107억원에 이른다.

아시아나항공 부실 회계 논란으로 퇴진한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은 아시아나항공과 금호산업 등 계열사 2곳으로부터 14억23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지난해 전격 퇴임을 선언한 이웅렬 전 코오롱그룹 회장은 계열사 5곳으로부터 지난해 퇴직금을 포함해 연봉으로 456억원을 챙겼다. 퇴직금만 400억원으로 실제 연봉은 주요 대기업 총수와 비교해 낮은 수준이다. 

삼성전자에서는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70억3400만원으로 지난해 삼성전자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받았다. 이는 전문경영인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 부회장은 올해도 '무보수' 경영 기조를 재확인했다. 이 부회장은 2017년 2월 이후 급여를 받고 있지 않아 공시 대상에서 제외됐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현대차와 현대모비스로부터 각각 54억7600만원, 41억700만원을 받는 등 전체 95억8300만원의 급여를 받았다. 이는 정 회장이 2017년에 받은 연봉 80억900만원보다 약 19.6% 늘어난 수치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부회장은 현대차로부터 22억1300만원, 현대모비스로부터 7억3800만원 등 전체 29억5100만원의 급여를 받았다. 지난해 현대차그룹의 총괄수석부회장으로 승진한 정 부회장의 연봉은 18억100만원이었던 2017년 연봉에 비해 63.8% 증가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해 SK㈜와 SK하이닉스에서 각각 30억원씩 연봉을 지급받아 총 60억원의 보수를 받았다. 지난해 연봉 20억원에서 40억원이 늘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지난해 6월 그룹 회장 취임 후 12억72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LG는 고(故) 구본무 전 회장에게는 급여 13억6800만원, 상여 40억6000만원, 퇴직금 201억3600만원, 기타 근로소득 등을 더해 총 285억800만원의 보수를 지급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을 맡고 있는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지난해 연봉으로 77억6500만원을 받았다. 이는 지난해 공시된 2017년 연봉 73억300만원보다 약 7% 늘어난 수준이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는 박용만 두산인프라코어 회장은 지난해 43억84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지난해 연봉 19억5500만원보다 약 80.5% 늘어난 액수다.

저작권자 © 타이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