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의 확실한 ‘YES맨’ 자처
자의적 판단력 상실한 전문경영인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의 비리는 기업 인수 과정에서도 강한 의혹을 받고 있다. 성진지오텍의 인수과정에서 전정도 세화엠피 회장의 지분을 시장 평가액보다 2배 이상 비싼 가격에 매입했다. 성진지오텍은 코스닥 상장사로 환위험 회피를 목적으로 키코 상품에 가입했다 3000억원대의 손실로 부도직전에 몰려 있었다. 당시 성진지오텍의 부채비율은 1600%로 통상적으로 400%이상이면 부도위험 기업으로 분류한다는 점에서 최악의 상태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회계감사를 맡았던 안진회계법인은 기업존속 능력에 의문이 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런 부실 덩어리 회사를 인수하기 위해 주지 않아도 될 경영권 프리미엄이라는 명목아래 시장가 90%이상의 웃돈을 얹어주며 최대 주주로 있던 전 회장이 보유중이던 성진지오텍 지분 40%(1234만주) 모두를 인수했다.
검찰은 일반적으로 경영권 프리미엄이 평균 주가에 30%정도 붙는 점을 비춰볼 때 성진지오텍 고가 인수 자체가 범죄행위에 해당된다고 판단하고 수사를 진행해 왔다. 정 전 회장은 당시 인수합병 관련 보고를 받고 최종 결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수 배경을 놓고 강도 높은 조사를 진행했던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 관계자들이 성진지오텍을 인수해달라는 취지의 청탁을 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었다. 
MB정부와의 포스코 사이의 불법적 커넥션은 정 전 회장을 통해 다양한 곳에서 이어진다. 박영준 전 차관이 구속됐던 파이시티 비리에 시공사로 선정됐던 건설사가 바로 포스코건설이다. 포스코건설 입찰과정, 막대한 기대이익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단독 응찰하게 된 배경, 개발 사업의 인허가 과정 등에 정권 실세 개입이 있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 전 회장은 비자금 문제에서도 자유롭지 못하다. 포스코가 2010년 인도 CGL제철소를 건립을 할 때 공사규모 3000억원의 공사를 동양종합건설에 넘길 것을 지시했다. 
그러나 내부반발로 무산되자 다시 850억원대 알짜 토목공사를 동양종건에 넘겨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사규모는 동양종합건설의 연매출 600억원을 크게 상회했다. 
이렇게 조성된 비자금은 회사장부조작, 불법 대출 등 분식회계를 제외한 비위규모가 3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포스코 계열 학교법인 포스텍의 투자 손실과정에서 정 전 회장은 깊숙이 개입했다는 정황이 있다. 2010년 6월 포스텍이 부산저축은행에 500억원을 투자하는 과정에서 정 전 회장의 압력 있었다는 것이다. 부산저축은행은 부실로 2011년 2월 영업정지 됐고 포스텍은 투자금 전체를 날렸다. 이와 관련해 포스코 관계자는 “500억원의 투자는 이상득 전 의원이 정준양 회장에게 부탁했고, 정 회장이 이를 다시 이구택 포스텍 이사장에게 말해 이뤄진 것”이라는 말로 다시 한번 ‘영포라인’의 개입의혹을 구체화했다. 
포스코와 철강 중간재를 거래하는 협력업체 코스틸과의 유착 혐의도 포착됐다. 검찰에 따르면 정 전 회장의 인척이 코스틸의 고문으로 재직하며 4억원대의 고문료를 받게 된 경위를 추궁하고 있다. 

저작권자 © 타이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