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계가 다음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행 연 1.50% 동결할지 아니면 1.75% 수준으로 인상할지 여부에 촉각을 기울이며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경우에는 가계의 이자 부담이 높아지고 기업의 투자 여력이 줄어들어 국내 경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를 극도로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반면 기준 금리가 동결될 경우 주가 하락 원인인 금리 상승 요인을 완화시킬 수 있어 바닥을 치고 있는 국내 증시의 반등 가능성은 현재보다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섞인 전망도 나오고 있어서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증권가에서도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지 여부를 두고 갑론을박이 진행 중이다.

  그동안 이주열 한은 총재의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 등을 고려할 때 11월 금리 불균형 해소를 위해 인상이 유력하다고 모아진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 1.25%에서 0.25%p 인상된 뒤 11개월 연속 연 1.50%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이 지난달 금리 인상을 단행함에 따라 한·미간 금리 격차는 0.75%p로 벌어졌다.

 미국은 12월에 정책 금리에 대한 추가 인상을 한다는 방침이어서 11월에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경우 한미간 금리 격차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경우 우리나라 정책금리보다 미국의 정책금리가 더 낮아 외국인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을 내기 위해 자본을 이동시킬 수 있다.

 실제로 외국인 투자자들은 이달 초부터 29일까지 8조7151만4000주를 매수하고 9조2615만6000주를 매도해 5464만2000주를 순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금액으로 살펴보면 31조2971억원을 매수했고 35조1054억원의 매도했다. 순매도 금액은 3조808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미간 금리 차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는 팔자 기조를 이달초부터 유지해온 셈이다.

 한·미 간 기준금리 격차 확대와 미국 국채 금리 상승 등에 따른 외국인투자자들의 매도세를 막기 위해 한은이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는 이유다.  

 다만 금리를 인상했을 때 가계의 이자 부담이 높아지고 기업의 투자 여력이 악화돼 장기적으로 봤을 때 국내 증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등은 부작용으로 꼽힌다.

 김유미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금리인상은 금융불균형 완화 차원에서 11월 인상 후 동결이 전망된다"며 "국내 시장금리는 내년 상반기 경기 개선을 통해 오름세를 보일 수 있지만 미국 금리 인상이 마무리될 경우 하락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반면 경제성장률이 악화된 상황에서 금리인상에 나선다는 것은 경기 흐름에 역행할 수 있어 한은이 연내 동결 카드를 꺼내들 가능성도 있다.

 증권가에서는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 단행 명분이 약화됐다는 명분을 앞세워 '11월 인상' 보다는 연내 동결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월 금리인상론에 대해 "기정사실화한 것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힌 것도 이같은 기대에 힘을 싣는다.

  다만 기준 금리가 동결될 경우 주가 하락 원인인 금리 상승 요인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되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의 주식 매도세는 오히려 가속화 될 가능성이 높아 증권가의 고민은 깊어지는 상황이다.

한국투자증권 박정우 연구원은 "경기여건에서 금융안정을 위한 한은의 금리인상은 당위성을 갖기가 점점 힘들어질 것으로 판단된다"며 "가계부채에 대한 정부 대책이 연이어 나온 상황에서 금리 카드를 쓸 만큼 시급하지 않아 당장 금리를 인상해서 얻을 이득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타이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