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왼쪽부터)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 회장, 구광모 LG 회장

문재인 대통령의 평양정상회담 방북길에 4대 그룹이 동행한다. 현대자동차를 제외하고 삼성, SK, LG 총수들이 직접 나선다. 

이에 따라 남북 경제협력과 투자에 속도감이 붙을 것이란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 조치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격적인 사업을 논의할 단계는 아니지만, 정부에선 향후 남북경협의 초석을 놓는 계기가 되길 기대하고 있다.

삼성 총수가 남북 정상회담에 동행하는 것은 처음이다. 2000년, 2007년 1, 2차 남북정상회담 당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건강상의 문제로 동행하지 못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삼성 총수로선 첫 방북에 나서면서 이번 정상회담에서의 남북 경협 논의 분위기는 어느 때보다 뜨거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1999년부터 평양에서 TV와 유선전화, 라디오 카세트 등 가전제품을 위탁 가공으로 생산했지만 2010년 남북관계가 악화하면서 철수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북한의 값싼 노동력을 바탕으로 한 가전 생산 공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그렇지만 대북 제재뿐 아니라 북한의 정보통신기술(ICT), 철도, 도로 등 인프라 부족 및 노동 숙련도 등을 고려하면 남북경협이 재개되더라도 삼성의 주력 산업인 전자분야의 진출은 당분간 쉽지 않다.

다만 삼성은 향후 국내 1위 기업에 걸맞게 큰 틀에서 남북경협의 진행 상황에 맞춰 투자법인을 설립하는 등 다양한 협력사업에 참여해 북한의 개혁·개방 가능성을 제고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LG는 지난 6월 회장에 취임한 구광모 회장이 방북길에 오른다. 회장 취임 이후 첫 대외 행보다.

LG그룹은 LG유플러스의 통신 네트워크 사업과 LG상사를 중심으로 한 자원 개발이 예상된다. LG상사는 2000년께 대북 임가공사업 상담 센터를 운영하는 등 중소기업의 대북진출 창구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LG전자도 1996년부터 2009년까지 북한에서 위탁가공 형태로 TV를 생산한 이력이 있지만, 삼성전자처럼 전자분야의 진출은 당장 검토할 사안은 아닐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전력 인프라 구축과 관련해 범 LG家 LS그룹이 남북경협에 기대하는 바가 크다. 구 회장은 방북 전 LS그룹을 방문해 대북관련 사업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최태원 SK 회장은 지난 2007년에 이어 두 번째 방북이다. 통신, 건설 인프라 관련 향후 SK텔레콤과 SK건설의 사업 참여 가능성이 우선 점쳐진다. 에너지와 반도체 등 그룹내 다른 사업군들에게도 남북경협은 또다른 기회가 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김용환 부회장이 방북사절단으로 동행한다. 현대차그룹은 계열사 현대건설, 현대로템 등을 통해 건설,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남북경협 사업에 참여할 기회가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이번 남북 정상회담에선 어디까지나 향후 국제사회 대북제재 해제를 가정한 경제협력 및 투자 검토나, 남북 경제협력이란 기대를 현실로 만드려는 정부의 방향성에 화답하는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재계 관계자는 "워낙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망이 촘촘하고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들이 미국 등 국제 제재 흐름에 역행해 현실적으로 당장 북한과 논의할 수 있는 경제협력 사업은 거의 없다"면서 "이번 방북에서 그룹 총수들은 구체적인 대북 사업 구상을 내놓기 보다는 직접 북한의 상황을 보고 들으며 향후 경협 재개시 가능한 사업에 대해 구상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타이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